오늘로 출산 6개월이 된 복덩이 맘입니다.
임신도 중요하지만 출산 후가 더 중요한 거 아시죠?
어머니들이 많이 하시는 말씀들이
"나는 산후조리를 제대로 못해서 지금 온 관절에 바람이 들어와서 아퍼~"
"비만 오면 안 쑤신 곳이 없어..."
이 슬픈 경험담을 수시로 들어온 저로서는 어릴 때부터 아기를 낳게되면 꼭 산후조리만큼은 잘 하겠노라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저도.. 아기를 보다보니..
어른들의 말씀들은 즉, 그만큼 산후조리가 중요하고 산후조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평생 고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산후조리는 출산한 산모들에게 꼭 필요한 서비스입니다.
국내의 산후조리 문화가 산후조리 문화가 없는 외국에 점점 퍼진다고 합니다.
산후조리원에 들어가서 케어를 받으면 되지만 산후조리원을 불가피하게 못가시거나 꺼려하시는 분들에게는 산후도우미나 산모 어머니, 시어머니 도움을 받으셔야하는데 산후도우미는 비용이 들고, 어머님들께서 도와주시면 좋지만 또 뭔가 죄스러워서 마음이 무거운데요. 이 것을 모두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정부지원을 받는 산후도우미 서비스입니다.
진정 이 제도는 출산을 한 엄마들에겐 단비같은 제도이기도 합니다.
보건복지부에서는 출산 가정에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관리를 위해 가정 방문하는 서비스지원으로 출산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정부 지원제도라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정부지원산후도우미 어떻게 하면 신청할 수 있을까요?
일단, 신청하시기 전에 조건부터 살펴보셔야 합니다.
신청 조건
정부지원 산후도우미는 산모와 배우자의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합산액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금액에 해당하는 출산가정만 가능합니다. 소득 기준을 초과하여도 특수 가정에 한해서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예외로 지원해주는 경우도 있으니 이 경우는 각 지역별 보건소에서 따로 확인하시면 됩니다. 그 예외 지원은 희귀난치성질환, 장애인, 새터민, 결혼이민, 쌍생아, 미혼모산모, 셋째아이출산가정 등이 이에 속합니다.
가구원 수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원) |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혼합(직장+지역) | |
2인 | 94,808 | 75,719 | 95,962 |
3인 | 121,528 | 115,254 | 122,961 |
4인 | 150,844 | 151,910 | 152,850 |
5인 | 177,419 | 184,185 | 180,259 |
6인 | 206,091 | 219,834 | 209,942 |
7인 | 236,255 | 257,406 | 241,925 |
8인 | 263,711 | 287,857 | 272,807 |
가구원 수는 앞으로 태어날 아기까지 하여 생각하시면 됩니다.
저희 기준이면, 신랑 그리고 저, 복덩이 이렇게 3명이어서 가구원 수 3인으로 보았고 맞벌이어서 직장가입자에서 봤어요.
(번외로 저는 모의계산 시에는 해당이 되었는데.. 갑자기 5월달 건강보험정산 시기가 맞아떨어지면서 건강보험료가 올라 하마터먼 저 혜택 못 받을 뻔하였습니다. ㅠㅠ 보건소에서 신청이 들어갈 때 건강보험료 조회를 하는데 그 때 보험료로 정해진다고 하는데 저는 다행히 업데이트가(?) 안되어 있어서 가까스로 지원을 받았습니다.. 100만원 가량 되는 금액을 단 며칠 차이로 지원 못받고 냈었으면 얼마나 억울했을지 아찔한 순간이었습니다.
신청 자격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신청자격은 국내에 주민등록 또는 외국인 등록을 둔 출산 가정이 신청 가능하며 부부 모두가 외국인 경우에는 부모 모두 각각 국내 체류자격 비자(사증) 종류가 F-2(거주), F-6(결혼이민)인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서비스 내용
산모와 신생아 건강관리를 위해서 일정 기간동안 출산가정을 방문하여서 산후관리를 도와주는 건강관리 서비스 이용권이 지급되며 출산일로부터 60일 이내 신청 가능하며 60일이 경과되면 바우처 자격이 소멸되니 그 전에 꼬~~~옥! 신청하셔야 합니다. 단, 미숙아, 선천성 이상아 출산 등의 경우로 입원한 경우에는 퇴원일로부터 60일 이내로 신청 가능하며 이런 경우에는 출산일로부터 120일이 경과하면 바우처가 소멸되므로 잊지말고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서비스 신청방법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서비스 신청은 오프라인, 온라인 모두 신청 가능합니다. 오프라인 신청은 산모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시, 군, 구 보건소에서 신청이 가능하며 인터넷 온라인 신청도 가능합니다. (복지로 온라인 신청)
온라인 신청시에는 가족관계증명서, 출산 또는 출산예정일 증빙자료 (의사 진단서나 소견서, 출생증명서 등 필요), 건강보험증 사본, 신청일 기준 최근월분 건강보험료 산정금액 확인서(12개월분) 건강보험료 산정금액 확인서의 경우 건강보험료 홈페이지나 전화를 통하여 팩스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제출은 이미지를 업로드하셔야 하며 이미지 업로드가 힘들다하시면 방문신청을 이용하셔야 합니다.
태아 유형 | 출산 산위 | 서비스 가격 (단위: 천원) | ||
단축 | 표준 | 연장 | ||
단태아 | 첫째아 | 560 | 1,120 | 1,680 |
둘째아 | 1,120 | 1,680 | 2,240 | |
셋째아 이상 | 1,120 | 1,680 | 2,240 | |
쌍태아 | 둘째아 | 1,450 | 2,175 | 2,900 |
셋째아 이상 | 2,175 | 2,900 | 3,625 | |
삼태아 이상, 심한 장애 산모 | 구분없음 | 2,505 | 3,340 | 4,175 |
산후도우미 서비스 가격은 간단하게 설명해서 소득 기준으로 정부지원금이 차등 지원됩니다.
특수한 경우에만 더 혜택을 주는 방식인데요. 표준은 2주가 기준이며 저 같은 경우에는 조리원을 사용하지 않아서 연장서비스를 이용하였습니다.
아래의 사진은 저희 지역 보건소에서 받은 표로 신청하는 방법, 진행과정과 서비스 가격에서의 정부지원금과 본인부담금 비율을 나눈 내용으로 모든 지역에서 동일하게 적용되는지는 모르나, 참고하시라고 올려두었습니다.
※ 저희는 참고로 강릉 지역입니다.
한가지 말씀드릴 것은 저희 지역만 그런 것인지 모르겠는데 산후도우미도 특히나 경력이 있으시고 평이 좋으신 관리사님들은 스케쥴이 금방 차는 경우가 있어서 산후도우미서비스 모의 계산을 해서 자격이 될 것 같으면 미리 산후도우미 해당 업체에 연락하셔서 예약하시는 것도 좋아요. 저같은 경우도 2-3달 전에 예약금 걸고 예약을 해서 그런지 좋은 선생님을 만났고 제가 원하는 타임에 잘 했던 것 같습니다. ㅎㅎ
보건소든, 산후도우미 제공기관이든, 언제나 신청하실 때에는 여유있게 미리미리 준비하셔서 신청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2020년에는 금액이 바뀌거나 제도가 바뀔 수도 있지만~
신청하실 때 많은 도움이 되길 바라며 포스팅을 마칩니다.
'내향적 혁신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가세는 무엇인가?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 부가세 계산방법 (0) | 2020.01.01 |
---|---|
직장인(예비맘) 출산전후(유산· 사산) 휴가 및 급여 신청 방법 (0) | 2019.12.22 |
민식이법 과연 아이들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까? (1) | 2019.12.20 |
[리뷰] 엔픽스 롤링 360 보행기 (지금까지 이런 보행기는 없었다. 이 것은 보행기인가 쏘서인가!) (0) | 2019.12.19 |
영유아(신생아) 몸무게 성장발달표, 소아발육표준치, 표준키 (0) | 2019.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