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향적 혁신가

[부자맘 프로젝트] 1-2. 월별 예산 계획 세우기, 엑셀 가계부 사용법

by 서 정 휘 2020. 1. 29.

 

 

 

 

안녕하세요. 부자맘 서정휘입니다.

 

 

 

 

 

밀린 포스팅을 쓰니까 마음이 무겁네요.

매일매일 쓰려고 했는데 생각보다 잘 되지 않는.. 흑흑..

 

 

 

 

저번에 대차대조표를 통하여 우리 집의 현 상황을 보았다면 이제는 세부적인 전략을 짜야겠죠?

 

대차대조표에서 나온 순이익이 어떻게 나왔냐에 따라서 아마 그 전략은 달라질 것입니다.

순이익이 마이너스라고 하면 순이익이 플러스가 될 수 있도록 월별 계획을 세워서 행동해야 하고,

미약한 플러스다하면 더 큰 이익이 되도록 해야 하고

너무 플러스다하면 투자처를 고려해보는 것이 좋겠지요~

 

 

겨..겨우... 플러스..

 

저희는 아아아~주 미약한 플러스여서 언제든 '0'이 될 수 있기에 더 박차를 가해야겠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그럼 자산이 더 늘어날 수 있도록 어떻게 해야할까?

 

 

 

 

바로 가계부를 쓰는 것입니다.

 

 

 

 

제가 한동안 가계부를 많이 작성해봤지만 항상 몇개월 못 쓰고 그만두었는데요.

네이버 가계부, 엑셀 가계부, 종이가계부, 가계부 어플 안써본 것이 없었는데 지금은 아예 안쓰고 신용카드를 쓰고 있는 마이너스 인생을 살고 있네요. ㅠㅠ

 

 

 

이렇게 된 이유는 아마도 제가 보기에는 저에게 맞는 가계부가 없었고 너무 상세하게 쓰려다보니

매일 쓰는 가계부가 너무 부담스러웠던 것이 원인이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저만을 위한 현금흐름을 알아볼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만들었습니다.

0. (처음) 대차대조표 작성하기 + 1달 가계부 작성해보기 (엑셀 양식 이용)
1. 월별 예산 계획 세우기 (엑셀 가계부 이용, 前분기에 작성)
2. 매일매일 쓰는 지출내역 작성하기 (가계부 어플 이용, 매일)
3. 엑셀에 지출내역을 옮겨 작성하기 (엑셀 가계부 이용, 익월 초에 작성)
4. 대차대조표 작성하기 (엑셀 파일 이용, 분기별로 작성)
5. 반기별 자산현황 작성하기(엑셀 파일 이용, 분기별로 작성)

 

사실 가계부를 사용하는 것은 원하시는 대로 하시면 됩니다.

난 어플로만 사용해도 된다하시면 어플 활용해서 하시면 되고 수기가 더 좋다 하시면 수기 쪽으로 하시면 됩니다.

 

가계부는 여기서 결국 매일매일 지출내역을 작성하는 것인데 이 쯤에서 의문이 하나 생깁니다.

 

 

 

 

왜 가계부를 써야하나?

 

 

 

 

바로 나의 현금흐름을 알아보기 위해서입니다.

 

한달에 수익이 들어오는 것이 얼마고 지출은 얼마인지

그리고 수익에서 지출을 뺀 잔액이 얼마인지, 플러스인지 마이너스인지를 파악하고

줄일 수 있는 낭비 항목을 찾아서 현금 흐름 시스템을 재정비하기 위해서 가계부를 꼭 써야합니다.

 

 

 

예산내역을 쓰기에 앞서,

한 두달 정도는 월별예산계획표에 맞춰서 가계부를 작성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는 3개월 평균값을 추천)

왜냐하면 내가 한달에 각 항목에 따라 얼마를 쓰는지 모르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기준을 만들어 그 기준을 가지고 다음 예산을 짜는 것입니다.

 

 

제가 만든 엑셀파일을 활용하신다 하시면,

전월의 작성한 가계부를 참고하여  맨 오른쪽에 있는 세세목 수입/지출 금액란에 작성하시면 됩니다.

상세내역이나 구분은 원하시는대로 자유롭게 바꿔 쓰셔도 됩니다.

세세목 쪽에 입력을 하시면 왼쪽 표는 알아서 계산되게끔 수식을 맞춰 놨습니다.

 

 

 

 

월별현금흐름 예시 (중략)

 

 

예시에서는 제가 적다 말았지만, 항목의 돈들이 어느 통장에서 입출금되는지도 작성해줍니다.

이 것은 추후 각 통장에 배분을 위한 작업이라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그리고 통장별 한달 예산을 적어줍니다.

 

예시입니다.

 

통장이 왜 이렇게 많냐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일명 '통장쪼개기'입니다.

이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나중에 따로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일단 통장쪼개기를 한 상태에서 각 통장마다 짜놓은 예산금액을 입금시켜준다면,

그 안에서 돈을 지출하면 낭비도 없고 좋겠죠?

이 것은 신용카드를 쓰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아주 좋은 방법입니다~!

 

 

예산 설정 순서를 정리하자면,

0. 한 두달 가계부를 월별예산계획표에 맞춰 작성하기
1. 세세목 수입/지출 작성하기 (엑셀 파일 활용)
2. 각 항목마다 해당되는 입출금통장 적기
3. 통장별 예산 적기 (엑셀 수식으로도 설정해놓을 수 있음)

 

비상금 통장, 예비비 통장 등으로 불리는 경조사통장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말씀드릴 것이 있지만 이 또한 따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왜 수입이나 지출을 고정/변동으로 분류했는지에 대해서 다음 번에 같이 설명토록 하겠습니다.

 

 

 

일단, 이번 시간에는 월별 예산 설정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고 저는 더 좋은 내용을 갖고 찾아오겠습니다.

 

그럼 즐거운 밤 보내시길 바라요~!